2019년 295만명, 남성 89만3천명, 여성 205만8천명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무릎관절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을 발표했다.

무릎관절증의 최근 5년간 총 진료인원은 2015년 262만1천명에서 2019년 295만1천명으로 12.6%(33만명)가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0%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5년 75만5천명에서 2019년 89만3천명으로 18.2%(13만8천명) 증가했으며, 여성은 2015년 186만6천명에서 2019년 205만8천명으로 10.3%(19만2천명) 증가했다.

 

2019년 무릎관절증 질환, 60대가 33.0%(97만명)로 가장 많아
2019년 기준 무릎관절증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95만명) 중 60대가 33.0%(97만2천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7.2%(80만3천명), 50대가 19.8%(58만5천명) 로 나타났으며, 30대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남성의 경우는 60대 31.6%, 70대 25.6%, 50대 20.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3.5%로 가장 높았고, 70대 및 50대가 각각 27.9%, 19.6%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박상훈 교수는 무릎관절증이 60대 환자에게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무릎관절증 질환은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일차성 무릎관절증이 가장 흔하며, 이는 50대 이후 점차 발생하기 시작해 연령대가 높아짐에 따라 비율이 높아진다. 다만, 70대 및 80대 이상의 경우 인구 감소로 인해(사망 등의 이유) 인구 분포상 60대가 가장 많고, 퇴행성 변화에 따른 무릎관절증의 비율은 고령화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2019년 인구 10만 명당 무릎관절증 진료인원 5,742명, 2015년 5,191명 대비 10.6% 증가
인구 10만 명당 무릎관절증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5,742명으로 2015년 5,191명 대비 10.6% 증가했다.

남성은 2015년 2,976명에서 2019년 3,462명으로 16.3%의 증가율을 보였고, 여성은 2015년 7,430명에서 2019년 8,040명으로 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무릎관절증 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까지 증가 추세를 보였다. 30대까지는 남성이 많고, 4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70대 여성이 3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박상훈 교수는 “30대까지는 스포츠 활동이 여성보다 남성이 많아 이러한 외상으로 인한 무릎의 인대, 연골, 연골판 손상이 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퇴행성 변화 및 골다공증의 경우 여성에서 남성보다 빨리 발생하게 되므로 40대 이상의 퇴행성 슬관절염(일차성 슬관절증)의 경우 점차 여성의 비율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2019년 무릎관절증 진료비 1조6천824억원, 2015년 대비 47.6% 증가
최근 5년간 무릎관절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15년 1조1천399억원에서 2019년 1조6천824억원으로 5년간 47.6%(5천424억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0.2%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15년 2천256억원에서 2019년 3천592억원으로 59.2%(1천336억원) 증가해 여성의 증가율 44.7%보다 1.3배 높았다.

 

2019년 기준 무릎관절증 질환의 건강보험 구성비를 성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39.1%(6천57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33.4%(5천611억원), 80대 이상 13.2%(2천216억원) 순이었으며, 30대까지 남성의 총 진료비가 여성보다 많았고 4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무릎관절증 질환 1인당 진료비 57만원, 2015년 대비 31.1% 증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성별로 살펴보면 2015년 43만5천원에서 2019년 57만원으로 31.1% 증가했으며, 여성이 남성 진료비보다 높았다. 2015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남성 34.7%, 여성 31.2%로 유사한 증가율을 보였다.

 

2019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81만9천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 및 여성에서도 70대가 각각 55만6천원, 92만3천원으로 가장 많았다.

 

박상훈 교수는 “무릎관절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무릎 주변의 근력 강화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무리한 운동보다는 수영, 걷기, 자전거타기 등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좋고, 체중관리도 무릎 손상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박상훈 교수는 무릎관절증(질병코드 M17) 질환의 발생 원인 및 주요 증상, 치료법 및 치료 시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무릎관절증은 무릎관절을 이루는 뼈, 연골, 관절막, 연골판, 인대, 근육 등에 손상이 생기면서 통증 및 운동장애, 변형이 생기게 된다. 이는 퇴행성 변화로 발생할 수 있고, 이외에도 외상이나 세균 감염 등을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무릎관절증의 주요 증상은 무릎의 통증, 부종, 운동 범위의 감소를 보인다. 이외에도 열감, 시큰거리거나 찌릿찌릿한 느낌, 힘이 빠지는 느낌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무릎관절증의 치료에는 퇴행성으로 인한 무릎관절증의 경우 초기에는 약물치료, 주사 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우선으로 하며, 퇴행성 관절염이 심하게 진행되는 경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