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인원 2019년 122만명, 남성 59만8천명, 여성 62만6천명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조사한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조직염(L03)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5년 111만6천명에서 2019년 122만3천명으로 10만8천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5년 54만6천명에서 2019년 59만8천명으로 9.5%(5만2천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57만명에서 2019년 62만6천명으로 9.8%(5만6천명)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연조직염 질환, 50대가 16.1%(19만7천명)로 가장 많아
2019년 기준 연조직염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22만3천명) 중 50대가 16.1%(19만7천명)로 가장 많았고, 60대 14.0%(17만1천명), 40대 13.5%(16만6천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15.2%, 40대 13.7%, 60대 13.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16.9%로 가장 높았고, 60대 및 40대가 각각 14.5%, 13.3%를 차지했다.

특히, 30대까지는 남성이 많았고, 40대 이상부터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2019년 인구 10만명당 연조직염 질환 진료인원 2,381명, 2015년 2,209명 대비 7.8% 증가
인구 10만명당 연조직염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2,381명으로 2015년 2,209명 대비 7.8%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5년 2,151명에서 2019년 2,317명으로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2,269명에서 2019년 2,445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연조직염 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대 이상이 3,535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80대 이상이 4,123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70대가 3,350명으로 가장 많았다.

2019년 연조직염 질환 총진료비 1천434억원, 2015년 대비 36.3% 증가
연조직염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5년 1천52억원에서 2019년 1천434억원으로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8.1%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연조직염 질환 건강보험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16.8%(241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6.7%(239억원), 70대 14.9%(214억원)의 순이었으며 특히, 남성이 70대까지 전 연령층에서 여성보다 진료비가 많았으며 80대 이상에서는 여성의 진료비가 많았다.

 

2019년 연조직염 질환 1인당 진료비 11만7천원, 2015년 대비 24.3% 증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살펴보면 2015년 9만4천원에서 2019년 11만7천원으로 24.3% 증가했으며, 성별로 구분해 보면 남성은 2015년 10만6천원에서 2019년 13만1천원으로 23.4%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8만3천원에서 2019년 10만4천원으로 25.4% 증가했다.

 

2019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는 1인당 5만7천원으로 가장 낮았고, 80대 이상이 26만1천원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80대 이상의 진료비는 9세 이하 진료비의 4.6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연조직염 질환, 여름철인 8월에 16만2천 명으로 가장 많아
연조직염 질환으로 진료받은 2015년 및 2019년 월별 건강보험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여름에 환자가 가장 많았으며, 7월~8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7월과 8월은 전월 대비 환자가 약간 증가하며, 전체 진료인원 수가 가장 많은 월은 8월로 16만2천명이었고, 가장 적은 월은 2월로 9만8천명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정우용·박윤선 교수는 여름철에 연조직염 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이유에 대해 “습도가 높고 야외활동이 늘면서 연조직염의 주요 원인균인 황색 포도알균 등의 세균 번식이 쉽고, 상처를 입거나 모기 등 벌레에 물린 부위가 연조직염 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이어 “연조직염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피부괴사, 패혈증, 화농성 관절염, 골수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연조직염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유발 요인을 교정하고 피부손상을 막는 것이다. 무좀이나 짓무름 등이 있으면 즉시 치료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연조직염 질환의 발생 원인 및 주요증상, 예방법 등 주의사항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연조직염 질환은 피부와 부속기관에 상재하는 사슬알균과 황색 포도알균과 같은 세균무리에 의해서 혹은 다양한 종류의 외인성 세균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세균은 피부의 손상된 부분을 통해 침투한다. 세균은 주로 찰과상, 절개된 상처, 화상 부위, 곤충에 물린자리, 수술 절개부 및 정맥내 도관 등을 통해 표피로 침투해 연조직염이 발생한다. 이외에도 정맥이나 림프관 폐색 등으로 인해 부종이 있는 경우에도 잘 발생한다.

연조직염 질환의 주요증상은 열감과 통증, 국소적인 압통이 있는 적색의 홍반성 부종 병변으로 나타나서 빠르게 진행되며 맑은 액체가 들어 있는 물집이나 고름이 염증부위에 동반되기도 한다. 팔다리에 생기는 경우 림프관염과 림프절염이 동반되기도 하며, 발열이나 오한, 권태감 같은 전신증상이 동반되고 균혈증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연조직염 질환의 치료 방법에는 여름철 발생한 피부 상처는 완전히 건조한 뒤 연고를 도포하고, 이후 소독밴드를 붙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며, 모기 물린 자리에 침을 바르거나 긁는 행동을 자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치료는 약물치료로 항생제, 소염진통제 등을 주로 사용한다. 냉찜질과 충분한 휴식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진행 정도에 따라 초기에는 경구 항생제 치료를 할 수 있으나 전신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경우 입원해 정주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상황에 맞는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